[광주곤지암도자공원 인터뷰] 도자기를 사랑하는 남자, 장기훈 관장님
안녕하세요. 블로그지기 토야입니다.
광주곤지암도자공원에 계시는
도자박물관 관장님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관장이라는 직책이라
고지식한 분인줄 알았는데..
많이 수줍어도 하시고,
'도자기'라는 단어만 들어도
설레는 그 눈빛을 잊을 수가 없었어요!
광주곤지암도자공원에 토야가 있으면서,
이렇게 얼굴을 마주하며 이야기를 나눠 본 것은
이번에 처음이라서~ 엄청 기대에 부풀었답니다!
토야랑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도자기를 너무 사랑하는 남자라는 사실!
저 앞으로~ 관장님 팬 되겠어요 ♥
토야 : 안녕하세요~~
장기훈 관장 : 안녕하세요 (수줍)
[장기훈 관장님 소개]
토야 : 간단한 소개 부탁드려요~
장기훈 관장 : 저는 경기도자박물관의 관장 장기훈이라고 합니다.
토야 : 네~
장기훈 관장 : 너무 짧았나요?
토야 : 아니요.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많이 소개해주시겠죠 (웃음)
장기훈 관장 : (수줍)
토야 : 광주곤지암도자공원에서 어떤 일을 하고 계세요?
장기훈 관장 : 저는 경기도자박물관을 총괄하고 있어요. 도자공원 시설은 다른 부서에서 관리를 하고 있구요. 도자기 역사 발굴, 도자기에 관련된 교육 등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작년부터는 공예원을 운영하면서 전통을 이어가는 작가님들을 양성하는 일을 하고 있어요.
토야 : 멋진 일을 하고 계시네요! 그런데 강의를 하신다고 들었어요.
장기훈 관장 : 박물관 차원에서는 박물관 대학이나 강좌를 욕심껏 하고 싶었어요. 외부 유명한 분들을 초빙하여 시민, 도민들을 위해 강좌 개설을 하고 싶었는데 이번에는 못했어요. 지원할 수 있는 것이 없을까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죠. 저 또한 도자사를 전공했으니 도자 역사만큼은 도예 작가님들을 위해 진행해보자 하여 시작했어요. 2주에 한번씩 하기로 약속했는데 우리끼리 스터디 형식이에요.
토야 : 입주 작가님들로부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라고 들었어요~ 토야도 그 강좌 내용을 보고 싶은데 어디서 볼 수 있어요?
장기훈 관장 : (웃음) 외부 특강이나 학교 강의를 나가기는 하는데요. 박물관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강좌 내용이 올라가있어요. 그 내용을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토야 : 그럼 관장이 되신지 얼마나 되셨어요?
장기훈 관장 : 관장으로 발령받은 것은 2014년 9월 말이에요. 전에는 학예팀장으로 일을 했었어요. 학예연구 지도를 했는데 조직을 개편하면서 학예팀장이 관장 직책으로 바뀐 거예요.
토야 : 도자박물관에는 얼마나 계셨어요?
장기훈 관장 : 2003년 10월? 11월에 입사했어요. 지금 13년차가 되어가네요. 아마 재단에서는 유일하게 한가지 직책으로 꾸준히 있었던 사람일 거예요. 보통은 다른 부서로 발령을 받는데, 유일하게 박물관에 오래 있는 사람이지요.
토야 : 이곳이 첫 직장은 아니시죠?
장기훈 관장 : 아니죠. 95년에는 국립박물관 연구원으로 있었고, 97년에는 이천에 있는 해강박물관에서 7년 근무했어요. 도자재단에 이직을 해서 지금은 13년차 들어갑니다. 20년간 박물관에서 학예연구 일을 했어요. 16년 된 달인이 있는데 저는 그 달인보다 더 오래 했네요. (웃음)
토야 : 달인보다 더한 달인이네요?
장기훈 관장 : (부끄)
[곤지암도자박물관이란?]
토야 : 곤지암도자박물관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해주세요.
장기훈 관장 : 2010년에 박물관이라는 콘텐츠 만으로는 관람객 유입이 어려워서 테마파크로 조성하였어요. 곤지암도자공원안에 박물관이 있는 형태로 바뀌었고, 다양한 테마시설도 있는 공간이에요. 카페, 체험단, 공연장 등이 많죠.
토야 : 경기도자박물관의 특징은 무엇이 있나요?
장기훈 관장 : 도자재단에 와서 많이 배웠어요. 학교에서 도자 역사를 공부했고, 오로지 유물만 다뤘어요. 역사의 흔적, 문화 유산들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고민을 했었는데 도자재단에 오면서부터는 그런 유물에서 얻어지는 정보와 지식을 어떻게 후대에게 전해야 할 것인가를 연구하고 있어요. 어떻게 관광자원으로 만들어갈 것인가? 현대 작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작가들에게 알려주는 것 외에 도자재단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많은 고민과 연구를 하고 있어요.
토야 : 경기도자박물관의 특별한 점은 무엇이 있나요?
장기훈 관장 : 한국도자재단에게 경기도자박물관은 굉장히 특별한 존재에요. 한국도자재단 자체는 진취적이고, 새로운 것을 찾아서 모험을 하고 있어요. 도자기 하나의 테마를 가지고 관광사업을 발전시키겠다는 나라는 없을 거예요. 도자공원이라는 표현도 흔치 않죠. 이러한 재단의 모험을 응원하면서 다시 돌아올 수 있게 중심을 잡고 있는 곳이 바로 경기도자박물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장기훈 관장 : 장점은 참 어려운 주제를 가지고 일을 하면서도 노력을 많이 해서 잘 풀어가고 있는 점이죠. 제가 고지식해서 박물관과 관련된 생활을 하다 보니 도자기 테마를 가지고 운영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했어요. 몇 쳔명을 위해 재단을 만들어서 운영한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구요. 하지만 많은 아이디어도 찾고, 사업도 개발하고, 실수도 많이 했지만 그만큼 잘 해쳐나가고 있어요.
토야 : 그럼 단점은요?
장기훈 : 단점이라... 단점은 그렇게 많지 않아요. 하지만 단점이 많지 않다보니 그만큼 취약점이 정책 하시는 분들에게 잘 각인되는 것 같아요. "많은 돈을 들여서 운영을 해야 하는가"라는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재단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고 힘들게 하죠. 뭐 단점은 아닌데, 그게 참 많이 아쉬워요. 한국도자재단에서 한번에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하는 것 같아요. 의욕이 앞서죠. 우리 재단 직원들 수나 할 수 있는 일보다 더 큰 규모의 영업장을 가지고 있어요. 많은 일을 하고 있죠. 그러다 보니까 뭔가 집중력이 약해지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앞으로 도자박물관의 모습]
토야 : 그럼 앞으로 경기도자공원은 어떤 역할을 했으면 좋겠나요?
장기훈 관장 : 재단도 마찬가지지만, 박물관 사람으로서 우리 후대에게 전통을 잘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어요. 어린이들에게 많은 경험과 교육을 전달하는 역할을 박물관에서 해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무생물체(도자기)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후대가 어떤 생활, 문화를 누렸으면 하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전통은 특정인이 만드는 것이 아니죠. 사람들이 전통에 대한 자부심 갖게 하고, 자부심을 키워주는 것이 도자재단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온 국민이 함께 만들어갔으면 좋겠어요.
토야 : 관장님의 개인 목표는 무엇이에요?
장기훈 관장 : 지금은 잘 모르겠어요. 관장으로서는 도자 역사를 전공했으니 연구자가 되어 후대에게 알려주자는 것? 많은 작가들을 양성하고 전통을 이어갈 수 있게하자는 목표가 생겼어요. 사람들이 전통에 더 많은 관심을 갖도록 변화를 시켜주는 역할도 하고 싶어요. 아직 명확히는 모르겠지만, 이일을 계속하다 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웃음) 박물관에 있는 동안 국내 최고의 도자기박물관으로 만들고 싶어요.
토야 : 앞으로 전통공예원 입주 작가님들이 어떤 역할을 했으면 좋겠나요?
장기훈 관장 : 전통공예원을 설립한 취지는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촉망받는 작가들을 지원하는 것인데요, 전통공예원 레지던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통공예원을 떠나도 전통을 깊이 알고, 그것을 베이스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무작정 유행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을 잘 찾아내는 작가들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또 전통공예원 작가들을 통해 도자박물관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알리고, 작가들 사이에서도 일반인에게도 영향과 영감을 줄 수 있는 빛나는 사람이 되엇으면 좋겠어요.
[비하인드 스토리]
토야 : 인간으로써의 관장님은 어떤 모습이에요?
장기훈 관장 : 저는 A형이에요. 소심하고 고집쟁이? 그동안 그걸 개선해보기 위해 남들에게 안 보이게 하려고 노력 많이 했어요. 그런데 아직도 소심하고 고집이 있네요.
토야 : 그렇게 안 보여요~!
장기훈 관장 : 연습을 한 거죠. 남들이 보기에는 허술해 보일 수 있지만 스스로는 꼼꼼하려고 하고, 내가 처음 생각했던 것을 관찰하려는 면이 있어요.
토야 : 취미활동은 뭐 하세요?
장기훈 관장 : 취미는~ 없어요.
토야 : 오로지 이곳에서만 계신가요?
장기훈 관장 : (웃음) 도자사 공부는 계속하고 있어요. 1년에 1편 정도는 논문을 쓰기로 했어요. 성과보다는 노력을 하고 있어요. 낚시도 하다가 그만두고, 야구도 하다가 그만두고..뭐 여러가지 했었어요.
토야 : 시간 때문인가요?
장기훈 관장 : 몰입해서 하고 싶은 것을 아직 못 찾았어요.
한국도자재단의 경기도자박물관이
왜 특별했는지 오늘 토야가 처음 알았네요!
장기훈 관장님의 교육 자료를 보면서,
토야도 열심히 도자 역사를 배워~
후대에게 널리 알리겠습니다!
광주곤지암도자공원에 놀러 오세요!
'신나는 도자여행 > 광주곤지암도자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지암도자공원 '모자이크 분수'에서 시원한 여름 나기 (0) | 2015.08.07 |
---|---|
한창 꽃이 피고 있는 곤지암도자공원 '홍백원' (0) | 2015.08.06 |
[광주 전통공예원 인터뷰] 전통 가구를 발전시키는 두 남자, 거소재 (0) | 2015.03.24 |
[광주 전통공예원 인터뷰] 꿈, 멋, 힘이 있는 나와 우리를 도자기로 만드는 김경희 작가 (0) | 2015.03.20 |
[광주 전통공예원 인터뷰] 쓰임새 있는 도자기를 만드는 이종구 작가 (0) | 201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