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행사

[기획특집 - All about GICB2017] GICB2017 학술행사 및 워크숍에 대해 알아보자기! 2017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는 전시뿐만 아니라 다른 볼거리도 가득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관람객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학술행사와 워크숍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2017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의 학술행사와 워크숍이 지난 회에 비해서 달라진 점이 무엇이고, 어떻게 새롭게 단장하여 관람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까요? 더욱 많은 관람객들과 함께 나누는 지식! - 학술행사 이번 2017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학술행사는 국제도자학술회의, 국제도자포럼, 도자컨퍼런스투어 이렇게 총 3개의 행사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입니다. 지난 비엔날레와 차이점이 있다면 프로그램 간 비중의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우선 이번 2017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학술행사 중에서 국제도자학술회의의 비중.. 더보기
2015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① - 학술행사&워크숍 2015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① - 학술행사&워크숍 - 세계 74개국과 함께하는 2015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이제는 정말 내일 모레면 개막인데요~! 토야는 벌써부터 막 두근두근♥ 그래서 이제부터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소개해 드릴까 해요. 오늘은 첫번째 시간으로, 학술행사와 워크숍 프로그램을 전해 드리겠습니다~! 2015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의 전시 주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깊이 있게 조명하여, 학술적·이론적인 부분을 뒷받침함은 물론, 이를 통해 새로운 담론을 제기하고, 확장 가능한 범주까지 포괄하고자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구분 주제 일정 및 장소 행사규모 국제도자학술회의 수렴과 확산: 표면 너머의 깊이와 다양성 2015. 4. 21 서울(대한상공회의소).. 더보기
D-100. 2013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얼마남지 않은 행사를 위한 댓글 이벤트까지! 2001년 제1회 비엔날레 개최를 시작으로 한국도자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 도자예술 및 문화의 흐름을 선도해온 국제예술행사인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가 벌써 2013 제 7회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를 100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6회 도자비엔날레 이후 2년간 여러 활동을 하고, 특히나 올 5월에는 곤지암도자공원의 완공으로 이천-여주-광주를 연결하는 도자관광라인도 형성하는 듯 많은 준비를 해왔습니다. 이번 2013 제7회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에서는 점점 각박해지고 개인화 되어가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가 공존, 공생해야만 하는 이유를 도자라는 따뜻한 아우라를 지닌 매체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합니다. 주제인 Community-with me, with you, with us는 공존과 공생을 위한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의 목.. 더보기
'Hot Roolies'에 이은 또 하나의 국제공개경쟁, 공개발표 'Hot RooKies'에 이은 또 하나의 국제공개경쟁, 공개발표 지난 6회 동안 개최되었던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의 참여방식이 공개경쟁에서 지명공모로 전화됨에 따라 이번 비엔날레의 참여방법과 소통의 창구를 다원화하고 다수의 신진 작가를 발굴, 등용하기 위해 새로운 참여방식이 적용된 기획전시를 마련하게 되었는데요, 이름하여 ‘Hot Rookies’~!! 는 기존의 공모전과 달리 작가의 포트폴리오와 이력을 종합적으로 심사함으로써 그 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국내외 신세대 작가들의 넘치는 예술적 창의성과 숨겨진 재능을 널리 알리고 그들의 발전된 모습과 도전의식 등을 작품을 통해 보여줄 수 있는 젊은 예술가들의 축제의 장이 될 것입니다. ^^ 이러한 신진 작가들의 발굴과 함께 여.. 더보기
도예인 공동전시 및 학술행사 지원대상 공모 결과 :: 도예인 공동전시 및 학술행사 지원대상 공모 결과 :: 지난 3월 26일 공고한 “2012년 도예인 공동전시 및 학술행사 지원사업” 지원대상 공모결과를 발표합니다 ^^ 총 32개 단체가 신청 접수하였고 이를 면밀히 심사한 결과 아래와 같이 10개 단체를 “2012년 도예인 공동전시 및 학술행사 지원사업” 지원대상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전국 도예가 및 단체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 심사시 주요 고려사항 1. 행사 취지의 명확성, 독창성 2. 행사 홍보 및 마케팅 계획의 구체성, 참신성 3. 행사참여 인원수와 각 참여자들의 해당분야 경력 4. 재단 지원예산 효과성(총 소요예산 대비 지원금액 비율, 예산내역 타당성 등) 더보기